보령의 흔적따라 185

제184편 ; 남곡동 남서들 상엿집

1. 들어가며   보령문화원에서 2016년도에 보령지역의 상엿집을 전수조사하여 '보령의 상여'라는 책을 발간하였다. 관심을 갖고 몇 곳을 방문을 하였는데, 불과 10년도 채지나지 않은 현재에도 주민들의 무관심 속에 급속한 소멸이 진행중이다. 장례문화가 급속하게 변하였고, 사람들의 의식도 변해가고 있으니 누구를 탓할 수 없는 일이지만 안타깝기 그지없는 일이다.  최소한 보령지역의 문화유산으로 한 곳을 지정하여 전통적인 상엿집과 지역의 전통상여를 수습 복원하여 전시할 수 있는 공간을 마련하여 보존하였으면 하는 바람이 크다.  보령시 남곡동은 대천천 하류를 끼고 해안도로를 따라 바다에 접하며 해망산과 왕대산 사이 남서들과 남서쪽으로 건지산 줄기까지의 갈산들을 포함하는 황골, 버들골, 탑동, 번던골, 방골,오룩..

제183편 ; 청라 함열남궁씨 시조묘

1. 들어가며    '60년대 이 마을에서 어린시절을 보내며 천방지축 뛰어놀았던 공간 중에 이곳도 한 부분이었다. 오래된 소나무 숲 앞에 펼쳐진 묘 앞 잔디밭은 뛰놀기에 적당했으며 석물들에 올라타 무동을 타는 것 또한 시간가는 줄 모르는 놀이였다.  봄인지 가을인지 어느 시기엔 흰옷을 입은 어른들이 묘 앞 상석에 갖은 제물을 차려놓고 제사를 지내고 옆집에서 잔치를 벌이면 동네 아이들에게도 떡과 과일, 사탕 등을 나눠주었다. 한 갑자 지나서 위성지도로 그곳을 살펴보니, 묘 앞 잔디밭에 둥근 타원형의 트랙이 보이기에 무엇일까 궁금하여 찾아가 보았다. 장변 20m, 단변 15m 원형으로 중앙부에 낡은 의자가 있고, 사람인지 동물인지가 트랙을 돌아다녔는지 잔디가 누워있는데 경마의 흔적은 아닌듯 하다.  현장을 ..

제182편 ; 보령지역 묘지석 문인상(文人像)

1. 들어가며    웅천의 미륵모퉁이를 규명하기 위해 내포지역의 미륵불을 조사하여 답사를 마치고, 미륵모퉁이가 장승이나 문인석으로 볼 수는 없는지 비교하고자 보령지역에 산재한 묘지석들을 답사하였다.  묘지의 석물에는 고석(鼓石; 상석을 받치는 돌), 곡장(曲墻; 봉분 뒤의 담장), 난간석( 봉분 주위 울타리), 망주석(망두석; 묘의 좌우에 배치하는 기둥), 병풍석(호석; 묘지 둘레를 에워싸는 돌), 상석(床石; 봉분 앞에 설치하는 상모양의 돌), 장명등(석등; 일정 품계이상의 묘에 설치하는 등), 향로석(향로와 향합을 올려놓는 돌), 석마,석양, 석호(무덤 앞에 조각한 말, 양, 호랑이 석상)이 품계에 따라 설치되며, 문인석(文人石)과 무인석(武人石)은 봉분을 지키는 파수꾼의 역활을 한다. 무인석은 대체..

제181편 ; 청라 사내사(舍乃寺) 흔적 답사

1. 들어가며    보령문화연구회에서 2024년 4월 27일(토)에 백월산 아래에 위치 하였다는 사내사(舍乃寺) 추정지를 답사하였다.  1715년 충청수영성 자료에 의하면 충청수영의 속사(屬寺)로 청양의 장곡사(長谷寺), 임천의 보광사(普光寺), 한산의 고석사(孤石寺), 보령 오서산의 성당사(聖堂寺),  백월산의 사내사(舍乃寺), 남포의 영흥사(永興寺)로 기록되어 있다.  보령문화연구회에서 2022년 11월 사내사 사지 1차 답사를 하였으나 지표조사가 이루어지지 않아 이번 답사로 사지로 비정되길 바라는 바였다.   새내라는 지명은 라원리의 동북쪽, 즉 백월산의 서남쪽으로 펼쳐진 완만한 능선의 깊고 평편한 경사지이다. 전면으로 성주산 장군봉이 바라다 보이고, 멀리 청천 저수지까지 넓은 전망이 보이는 곳으로..

제180편 ; 주산 주렴산 3.1만세운동 추모 기념식

1. 들어가며     일제가 이 땅을 강점했던 초기에 3.1 만세운동이 전국적으로 불타올랐다. 보령시에서는 당시 주산면 증산리 출신으로 배재고등학교에 다니던 이종연(추후 이철원으로 개명)이 고향으로 돌아와 동지들과 규합을 하여 주산 장날인 4월 16일 거국적으로 만세운동을 하려고 기획하였으나, 사전에 기밀이 누설되어 다음날 주렴산의 국수봉에 올라 태극기를 꽂고 횃불을 밝히며 징을 치면서 대한독립만세를 불렀다. 그 후 만세운동을 행했던 애국지사들은 왜경의 혹독한 고문과 태형을 받았으며, 그 영향으로 일찍 세상을 뜨기도 하였으며, 해외로 망명길을 떠나기도 하였다. 1985년 주렴산 꼭대기에 비를 세우고 주산면민들이 기념식을 거행해 왔으며, 1999년부터 보령시 주관으로 기념식을 거행해 왔다. 또한 2000년..

제179편 ; 내현리 우천선생 사은비

◎ 우천 노정우(又川 盧貞愚)선생 사은비 청라면사무소에서 청소 쪽으로 난 609번 지방도를 따라 1.0km 쯤 가다보면 우측으로 안골동네가 보인다. 원래 이곳은 교하노씨의 집성촌으로 근래까지도 타성씨는 들어가 살 수 없을 정도로 엄격한 보수적인 동네였다. 동네의 맨 윗쪽에는 그 집안의 종손이 사는 집이 있는데 그곳의 사랑채가 예전에 한학을 가르치는 서당이 있었다. 70년대 초까지만 해도 각 고을의 젊은이들이 사서삼경의 한문학을 배우기 위해 서당을 찾았으며, 우리 어릴적에 보아온 모습은 갓쓰고 회초리 들고 근엄하게 앉아있는 훈장님과 그 앞에 무릎 꿇고 머리를 흔들며 큰소리로 글읽던 학동들의 모습이 생생하게 기억된다. 훈장님 사후에 제자들에 의해 세워진 이 사은비는 청고을에서 특이하게 한학자 스승을 기리는 ..

제178편; 청라 '金凡夫 歸虛自誌'碑

1. 들어가며 소릿골로 귀향하여 몇 년을 살아왔다는 지인을 통해 숲속 바위 위에 글씨가 빼곡한 비석을 보았다는 소식을 들었다. 바위 위에 비가 있다면 묘갈명도 아닐 것이고, 무엇인지 궁금하여 그의 안내로 소릿골로 들어섰다. 백월산 줄기의 아랫부분인 해발 150~200m 되는 마을 옆 산을 들어서는 계곡의 한 비탈의 바위 위에 비석이 세워져 있었다. 보기엔 몇해 되지않은 듯 보이며, 장비를 사용하여 설치한 듯 높은 바위에 기단돌을 놓고 상하부 2단의 오석을 사용한 비석이 깔끔하게 보였다. 바위에 올라서서 비문을 살펴보니 김범부(金凡夫)의 귀허자지( 歸虛自誌)라 쓰여있고, 세운 시기가 2001년으로 겨우 20여 년 전의 일이었다. 김범부가 누구인지 핸드폰으로 검색해보니 문학작가 김동리의 형으로 나온다. 김범..

제177편 ; 대천 산신당 산신제(2)

1. 들어가며 작년 이맘때쯤 산신제가 열리는 이곳을 찾았지만 제를 지내는 모습을 직접 참관하지 못하여 아쉬움이 남겨있었다. 마침 정월 보름 전날인 오늘 오후 3시에 산신제를 지낸다는 소식을 듣고 다시 와 보았다. 작년에 공사 중이었던 봉재터널이 개통되어 지장골 사람들이 시내로 진입하는데 상당한 도움을 주는 것 같았다. 차량을 마을 골목에 세워두고 걸어서 산신당으로 향하는 길엔 겨울 끝을, 봄의 시작을 알리는 듯 새싹들이 움트는 것이 보인다. 미리 제당에 올라와 젯상을 진설하는 아저씨(노재설씨)를 도와주면서 제당 안을 살펴보니, 모시고 있는 산신의 신주인 탱화가 모사된 사진이어서 약간은 실망이 되었다. 100년이 넘는 역사를 가진 산신당의 신주가 민속화도, 불화도 아님은 격에 떨어지는 듯한 감이 몰려온다...

제176편 ; 화산리 상엿집

1. 들어가며 평생을 고닮프게 살아왔던 인생도 이승을 떠날 때에는 곱게 단장을 해서 보내는 것이 우리네 관습이었다. '60년대 말까지만 해도 동네 어귀 으슥한 곳에는 돌담에 초가 이엉을 얹은 상엿집이 흔하게 있었는데, '70년대 초 새마을 운동이 전국으로 펼쳐지면서 시멘트블록 벽에 함석지붕의 상엿집으로 바뀌게 된다. 세기가 바뀌면서 그것도 꽃상여라는 농협를 통해 간편한 형식으로 바뀌더니, 이젠 매장문화도 화장를 주로하게 되어 상여를 볼 수 있는 기회가 거의 사라졌다. 농촌의 젊은층이 사라지자 상여를 멜 수 있는 사람이 없다는 것도 큰 이유 중 하나일게다. '북망산천이 멀다더니 / 이제 가면 언제 오나 / 오는 날이나 알려주오 / 청사초롱 불 밝혀라 / 잊었던 낭군이 다시 온다./ 어허야 어혀 어이야 어여..

제175편 ; 청라 김성우 장군 추모 제향

1. 들어가며 양력 11월 1일 11시에 추모 제향 행사가 시작 되는 것은 새로운 시작을 알리는 첫 번째인 1(하나)를 의미한다는 진행자의 말처럼, 고려가 멸망하고 조선이 개국하는 과정에서 불사이군(不事二君)의 정신으로 승화한 장군의 넋을 기리고자 장군봉이 바라다 보이는 발산에서 추모행사가 열렸다. 발산(鉢山)을 지역 사람들은 '바래미' 혹은 '바리미'라고 불리었다. 발산이라는 지명이 국내에서도 여러곳에 산재하는데, 이것은 둥그스름하고 밋밋한 동산의 형태를 가진 지형을, 즉 절에서 승려들이 쓰는 밥그릇 바리때를 엎어 놓은 형상의 지형을 말하는데 우리땅 이름이 한자화 하면서 발(鉢 ; 바리때 발)로 변형된 것으로 본다. 제향을 지내는 동안 청천저수지에서 라원 들판을 통해 불어오는 바람이 골바람이 되어 현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