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령에서는 정부와는 다르게 매년 4월 17일에 3.1절 행사를 진행한다.
탑골공원에서 독립선언서가 발표되고 독립만세운동이 전국으로 확산되면서 보령(당시 남포군)에는 이철원 선생에 의해 주산 장날을 기해 주렴산에 올라 만세를 불렀다. 이것이 보령에서는 최초의 만세운동으로 기록되어 있으며, 이날을 '주렴산 3.1만세 운동'이라 칭하고 주민들과 각계인사들이 참석하여 그날을 기린다.
주산면 주민복합센터 경내에 추모비와 기념비가 세워져 이곳에서 '제106주년 주렴산 3.1만세 운동' 기념식이 진행되었다.
'주렴산 3.1만세 운동' 이 태동된 곳은 증산리(시루뫼)의 이철원 선생의 집에서 이루어졌으며, 뒷산인 주렴산 국수봉에서 행하여졌다. 국수봉 정상에도 '주렴산 3.1만세 운동' 기념비가 세워져 있다.
기념식에 참석하고 주렴산 3.1운동을 주도한 이철원 선생의 생가터를 방문하였다.
증산리는 주렴산(348.4M)을 뒷산으로 하고 앞 벌판은 지금은 부사방조제로 간사지가 되어 환경은 변했지만, 웅천천이 바다로 들어가는 고즈녁한 마을이다.
보령 시민들과 자라나는 청소년들을 위해 이철원 선생의 생가터를 방문하여 긴박했던 그 당시를 기억하고 주렴산 국수봉에 올라 '주렴산 3.1만세 운동' 기념탑 앞에서 주산장을 바라보며 함성과 횃불로 독립을 울부짓었을 그들의 숭고한 정신을 이어받으며, 주산면 주야리쪽으로 내려와 면사무소 경내의 기념탑을 참배하는 '주렴산 만세운동 순례길'을 조성하여 봄도 고려해 볼 일이다.
@ 위치 ; 보령시 주산면 증산리 245(증산1리 마을회관 옆)
@ 이철원 선생 생가의 현장안내판 설명내용
본 가옥은 1919년 4월 17일 '주렴산 3.1만세 운동'을 주도한 이철원 선생(1900~1979)의 생가이다.
이철원 선생은 이곳에서 태어나 한학과 신학문을 배우다가 서울에 가서 배재학당에 다니던 중 3.1운동이 일어나자 동료학생들과 함께 참여하였다. 그 후 휴교령으로 인하여 서울에서의 활동이 어렵게 되자 고향인 이곳에 내려와 동지들을 규합하고 모의하여 '주렴산 3.1만세 운동'을 주도하였다.
이곳에 내려온 이철원 선생은 본 가옥 우측에 있던 구옥(소형 초가집)인 고모부 윤용원 선생댁에서 비밀리에 거사를 계획하고 태극기 등을 준비하며동지들을 규합한 후 거사 당일에는 이 가옥 사랑채에 집결하여 뒷산인 주렴산 국수봉에 올라 거사를 실행하였다. 거사후 이철원 선생은 피신하여 중국, 미국 등지에서 학업과 독립운동을 계속하였으며, 해방 후에는 제2대, 제4대 공보처장을 역임하였다.
'주렴산 3.1만세 운동'은 보령지역에서는 유일하게 실행된 독립만세운동으로 그 발원지가 된 곳이 이곳이며, 참여한 대부분의 애국지사도 마을 사람들이거나 이들과 친인척 관계의 사람들이었다. 따라서 '주렴산 3.1만세 운동'의 역사적 장소를 보존하고 알리기 위해 '증산1리 창조적 마을만들기 사업' 일환으로 2020년 8월 안채만 복원 정비하였다.
본 가옥을 정비하기 전의 구옥은 1914년 일제의 행정구역 개편으로 남포군이 폐지되고 1919년 남포군 청사가 헐리게 되었는데, 헐리는 군 청사의 목재들을 이철원 선생의 부친인 이승규(1882~1954) 선생이 가져다가 개축한 것이었다. 목재들을 웅천천 하구 독곶말까지는 배로 운반하고 다시 이곳까지(2KM)는 인부를 동원하여 지게로 운반했다고 한다. 당시에 현재 복원된 본채뿐 아니라 1990년대 말까지는 사랑채도 보존되어 있었으나 사랑채는 없어진 상태이다. 본채와 사랑채 개축은 이철원 선생의 거사 직후에 이루어졌다. 이 가옥을 개축한 이승규 선생은 1911년 주산에 '옥성학교'를 세워 신학문을 복원하고 '조선어 연구회' 창립에 참여하였으며, 휘문의숙, 만주 신흥강습소(신흥무관학교) 교사, 동아일보 기자, 보성전문학교(현 고려대) 교수 등을 역임하며 민족의식을 고취하는 활동을 전개한 애국지사였다. 2020.11. 보령시장
@ 이철원 선생 생가 정면 전경, 후편의 뒷산이 만세를 부르던 주렴산 줄기이다.
@ 이철원 선생 생가의 안채 부분만 복원이 되어있다.
@ 툇마루와 집 밖 구석구석에 탈곡기, 새끼 꼬는 기계, 풍구 등 각종 옛 농기구가 비치되어 있다.
@ 마루 벽에 '주산 3.1독립만세운동'에 대한 판넬이 걸려있다.
@ 생가 입구 '이철원 선생 생가' 안내 표지판
'보령의 흔적따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189편 ; 고대도와 최초의 개신교 선교사 (0) | 2025.04.18 |
---|---|
제187편 ; 청라 내현리 말무덤 (2) | 2025.01.25 |
제186편 ; 청라 내현리 굉돌 바위의 변화 (0) | 2025.01.25 |
제185편 ; 소양리 이경탁묘 무인석 (0) | 2025.01.24 |
제184편 ; 남곡동 남서들 상엿집 (1) | 2024.06.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