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대도(古代島)는 조선시대 최초로 개신교 선교사가 국내에 들어와 선교활동을 한 곳으로 밝혀졌다.
1832년 7월 17일 로드 애머스트(Lord Amherst)호를 타고 독일인 선교사 칼 귀츨라프(Karl Friedrich Augst Gutzlaff, 1803~1851)가 몽금포 앞바다의 몽금도(대도)에 도착하였다가 난폭한 군중들에게 쫒겨 해상으로 남하하였다.
「일성록」에 순조32년 7월 14일 "고대도안항인박( 古代島安港引泊)"으로 기록되어 있는데, 그들의 항해기록을 보면 7월 25일에 안전한 항구로 그들의 배를 인도하여 접안하였다고 한다.
그는 고대도 앞 바다에 약 20일간 체류하면서 주민들과 관원들을 만나 선교를 하면서 우리나라 최초로 감자를 파종하고 야생포도(머루로 추정)를 발견하여 포도 재배법과 포도즙 만드는 방법을 주민들에게 전수하였다고 기록되어 있다.
백령도의 중화동 교회 역사관에 들러 각종 자료를 훓터볼 때 '백령 중화동 교회 설립사'의 내용 중 '1816년 영국 해군의 머레이 맥스웰(Murray Maxwell) 대령이 이끄는 서해안 해로탑사와 선교를 병행 중이던 팀으로부터 첫 복음이 중화동에 떨어졌고, 1832년 귀츨라프 선교사가 중화동에 들려 전도를 했다.'라고 설명한 대목이 보였다.
우리나라 최초의 첫 선교사에 의한 첫 선교지로 주장하는 지자체들이 유적지로 발굴하고 기념공원을 조성을 하는데, 군산의 어청도, 서천의 마량진, 보령의 원산도에 이어 백령도까지 귀츨라프 선교사의 최초 선교지 논쟁에 불이 붙는 것 같다.
이러한 논쟁도 미래지향적으로 보면 역사적 진실을 찾아가는 하나의 방편이라 생각되며 논쟁이 확술의 발전을 가져오길 기대한다.
@ 칼 귀츨라프 해양역사문화 기념관
이 기념관은 한국에 온 최초의 개신교 선교사인 칼 귀츨라프의 1832년에 있은 한국 선교를 기념하기 위해서 건립되었다.
귀츨라프는 1866년 대동강에서 순교한 토마스 선교사보다 34년, 1884년 입국한 의료선교사 알렌보다 52년, 1885년에 입국한 언더우드, 아펜젤러보다 53년 앞서 한국을 선교하기 위해 온 개신교 최초의 선교사이다.
그를 기념하여 이 기념관에는 선교사로서 그의 선교 역사적 업적과 문화중개자로서의 문화 역사적인 업적을 기리는 다양한 정보와 자료가 전시되어 있다. 이를 통해 귀츨라프가 최초의 본격적인 선교를 행한 곳이 고대도이며, 문화적 교류가 집중적으로 일어난 곳이 고대도임을 정확히 알 수 있다.이러한 역사적 사실을 공고히 하고 귀츨라프가 가졌던 시대적. 문화적 소명을 우리에게 일깨우기 위해 해양역사문화 기념관을 건립하였다.( 해양역사문화 기념관 앞 안내문 발췌)
@ 예로부터 살기 좋은 섬, 고대도(古代島)
고대도는 충남 보령시 소속의 섬(충청남도 보령시 오천면 삽시도리)으로, 우리나라 최초로 기독교 선교가 이루어진 선교유적지이다. 면적 0.92Km2, 해안선 길이 4.3Km인 고대도는 충남에서 원산도, 삽시도, 장고도 다음으로 크다. 일찍이 사람들이 정착하여 마을을 형성하고 자가발전소, 상수도 시설 등 자체 생활 인프라를 구축한 '살기 좋은 어촌마을'이었다.
옛 집터가 많아 '고뎜'이라 불리던 것이 지금의 고대도(古代島)가 되었다.
현재 100여 가구, 300여명릐 주민이 한 마을을 이루어 살아가고 있으며 대부분 어업에 종사하고 있다.
태안해안국립공원으로 지정되었을 정도로 깨끗한 해역과 아름다운 풍광을 자랑하며 갯벌, 백사장 등 다양한 해양체험이 가능하여 여름이면 가족단위의 피서객들이 많이 찾아 휴양을 즐리고 있다.( 해양역사문화 기념관내 고대도 설명서 발췌)
@ 여객선에서 바라다본 고대도 항 방파제
@ 여객선에서 내리자 마자 만나는 섬 안내판에는 '하나님이 사랑하는 섬'으로 상징되어 있다.
@ 칼 귀츨라프가 도착한 섬으로 예전 분교자리에 해양문화체험관이 최근에 개설되었다.
@ 칼 귀출라프 해양역사문화 기념관 설명 안내판
@ 전시관 내부에 비치된 로드 애머스트(Lord Amherst)호의 축소 모형도
@ 기념관에서 해안도로를 따라 조성된 '선교사의 길' 입구
@ 안항(Gan-keang, 安港)으로 추정되는 고대도와 원산도 사이 선바위 앞 바다.
@ 선바위 부근 로드 애머스트(Lord Amherst)호의 축소형 모형 범선
@ '선교사의 길' 끄트머리에 공원에 설치된 귀츨라프 기념비
'보령의 흔적따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188편 ; 주산 이철원 선생 생가 (0) | 2025.04.17 |
---|---|
제187편 ; 청라 내현리 말무덤 (2) | 2025.01.25 |
제186편 ; 청라 내현리 굉돌 바위의 변화 (0) | 2025.01.25 |
제185편 ; 소양리 이경탁묘 무인석 (0) | 2025.01.24 |
제184편 ; 남곡동 남서들 상엿집 (1) | 2024.06.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