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들어가며
보령-공주간 도로(36번 국도) 확장공사가 몇해 째 청고을에서 이루어지고 있다.
농막을 오가며 청천저수지길을 달리다 보면 가로수로 심겨진 은행나무의 노란 잎파리가 저수지 물에 비치는 듯하여 가을을 더 재촉하는 것 같아 차를 멈추고 물수제비라도 뜨고 싶어진다.
우리가 어려서 기억에는 없지만 1960년대 초 청천저수지터에 살던 토착민은 대천읍내 청라마을로 이주되고 제방이 쌓아 그 당시 충청남도에서 예당저수지 다음 규모로 큰 저수지라고 알려져 읍내의 식수원과 읍내 넓은 간사지의 농수원으로 큰 역활을 하였다.
작년 여름은 가뭄 때문에 저수량이 낮아져 수몰 당시의 도로와 집터 그리고 농지의 흔적이 보였는데 그 흔적들에도 많은 이야기들이 숨어 있을거라 생각한 바가 있었고, 이번에 그 편린을 찾아볼 수 있었다.
청고을의 많은 성씨들의 집성촌이 고을고을 차지하고 번성을 하였는데 그중에도 김성우장군의 후손인 광산김씨와 이색의 후손으로 서천을 중심으로 번성한 한산이씨의 집안은 조선시대 이후 지금까지도 이 고을에서 크게 번성하여 가계를 이어가고 있다.
특히 이 두 집안은 서로 혼인을 하며 결속을 다졌는데 비근한 예로 토정 이지함의 어머니도 광산김씨이다. 토정 이지함 선생과 김극성과의 생몰을 보면 김극성이 43년 먼저 태어났으나 거의 동시대를 살았다고 볼 수 있다. 이지함의 화암서원과 김극성의 사우(조상의 신주를 모셔 놓은 집)가 청천저수지의 수몰로, 화암서원은 부근으로 옮겨져 청고을을 지키고 있지만 김극성의 사우는 청소면으로 옮겨 간 것이다.
그리고 보면 수몰 전 맑은 옥계천이 흘러들고 청고을의 대천천이 합류되던 곳 장산리(아랫장골)가 많은 인물을 배출 한 명당자리였나 보다.
우의정을 지낸 김극성의 호가 청라와 우정으로 출생지를 호로 사용한 것으로 보아 관직에 나가서도 고향사랑이 깊었던 것 같다.
2. 광성부원군 사우(문화재 지정 제143호)
* 지정 ; 1984년 5월 17일
* 위치 ; 보령시 청소면 재정리 산 71-11
광성부원군 사우는 보령출신의 조선전기 문신인 김극성(金克成, 1474~1540)의 위패를 봉안하고 제향하는 사당이다. 창건연대는 알 수 없으나 처음에는 청라면 장산리에 세웠던 것을 청천저수지의 조성으로 수몰지구가 되자 1960년 후손들이 그의 묘소가 있는 이곳에 옮겼다. 보령지역에서는 김극성의 후손인 광산 김씨들이 지역의 유력 성씨를 이루며 오랫동안 세거해 오고 있다.
사우는 목조 기와집으로 앞면 세칸, 옆면 2칸의 맞배지붕으로 출입문은 하나이고 토석혼축으로 담장을 만들었다.
김극성은 일찍이 사마시(생원.진사시)와 문과에 장원급제 하고, 관직에 나가 중종반정(1506)에 공을 세워 정국공신(靖國功臣) 광성부원군에 봉해지고 벼슬은 우의정에 이르렀다. (보령문화원, 충남학 3차 답사자료,2018,08,08)
*참조 ; 김극성과 이치의 가계 연관도
김성우(광산김씨 시조) - 김종호 - 김남효
- 김맹권
ㅜ------ㅜ-----ㅜ--ㅗ--ㅜ----------------ㅜ
김극신 김극성 김극양 女 =이치(한산) 女 ___________________ㅗ____________________________
ㅣ ㅣ ㅣ ㅣ
지영(일찍사망) 지번 지무 지함(토정)
ㅏ--------ㅜ ㅣ ㅜ-----ㅗ-----ㅜ-------ㅜ
산해(아계) 산광 산보 산두 산휘 산룡 산겸
'보령의 흔적따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6편 ; 남곡동의 '탑동' 유래 (0) | 2018.10.04 |
---|---|
제5편 ; 왕대산 마애불 (0) | 2018.10.04 |
제3편 ; 스므티 고개와 말바위 (0) | 2018.09.30 |
제2편 ; 성주산 장군봉과 성주사지 (0) | 2018.09.29 |
제 1편 ; 남포읍성 (0) | 2018.09.23 |